탈북민 약 1천명의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외부에 유출되는 우려스러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경북하나센터의 PC 1대가 최근 악성코드에 감염돼, 해당 컴퓨터에 저장돼 있던 지역 거주 탈북민 997명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가 유출됐습니다. 현재 경찰이 수사를 진행중으로, 해킹 주체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확인된 것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철저한 보안이 필요한 탈북민 정보가 대량으로 해킹에 뚫려 유출된 사고는 탈북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심각한 일입니다. 

하나센터는 하나원(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수료 이후 탈북민의 각종 지역 적응 지원 등을 위해 설치된 기관입니다. 어느 곳보다 사이버보안이 철저해야 할 탈북민 관련 자료를 다루는 기관에서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이 유감입니다. 해킹된 PC는 경북하나센터 직원이 외부에서 하나센터 기관 메일주소로 온 해킹 메일을 열람하면서 악성코드에 감염됐다고 합니다. 하나센터는 관련 법령에 따라 탈북민들의 개인정보가 담긴 문서에는 암호를 설정하고 개인정보는 인터넷과 분리된 PC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번 사고는 이런 지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발생했습니다.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는 겁니다.

탈북민 개인정보가 유출된다면 국내 거주하는 탈북민들이 신변에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한국에 사는 북한 정착민이 북한 보위부원들로부터 직접 협박과 회유를 받은 사례가 늘고 있느냐'는 의원 질의에 "그런 식의 사안이 파악된 게 있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탈북민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측면에서 대책을 강구할 것임을 밝혔지만, 이번 해킹 사고는 막지 못했습니다.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해야 합니다.

외교·안보와 관련된 정보는 집중적인 해킹 타깃이 돼 왔습니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 7월까지 통일부와 산하기관에 총 946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습니다. 올해 들어 여권 외교·안보정책 관련 인사들을 사칭한 이메일 발송 등도 잇따라 벌어졌습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주요 기관의 해킹을 막기 위한 시스템 운용에 허점은 없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합니다. 탈북민 개인정보 보호 강화와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도 철저히 살펴봐야 합니다. 무엇보다 이번에 개인정보가 유출된 1천명에 가까운 탈북민들이 불안 없이 일상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당국은 필요한 조치를 다 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