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포스코 차기 회장 선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의 후임자 선출을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차기 회장 최종 후보군 확정을 앞두고 여당인 민주당의 홍영표 원내대표와 권칠승 의원이 “권 회장 등 전·현직 임원이 인선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민영화 기업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정부 의지를 악용해 내부에서 무언가 이뤄지고 있다는 의심이 듭니다. 


포스코가 진행 중인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해 여당 의원들이 "불투명하다"고 주장하며 잠정 중단할 것을 요구한 것입니다. "개혁의 대상들이 혁신의 주체를 선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입니다. 포스코는 지난 4월 권오준 회장의 사의 표명 이후 차기 회장 후보군을 추려가는 중입니다. 후보자가 11명에서 5~6명으로 압축된 시점에서 느닷없이 '다시 하라'며 개입하고 나선 것입니다.




늘 포스코 회장 선임 때면 나왔던 소문과 억측, 비방 등이 이번에도 예외가 아닙니다. 전·현직 회장 계파 간 알력이나 현 정부 실세 개입설 등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친노 거물 경제관료 출신 B씨와 여권 실세 L의원의 개입설이 거론되는 판입니다. 포스코와 KT 같은 민영화 기업이 정권만 바뀌면 논란에 휩싸이는 서글픈 현실이 언제까지 반복될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현 정부는 민간기업 인사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실제 그럴 거라는 기대도 없지 않았습니다.하지만 헛된 기대였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포스코 회장이 뚜렷한 이유 없이 갑자기 중도 사퇴했습니다. 퇴진 압력을 받고 있는 KT 회장에겐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했습니다. KT 역시 민간기업입니다. 이제는 내놓고 인사 갑질을 시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언젠가 전부 수사 대상이 돼 처벌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모르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선거 압승에다 야당이 없어진 것이나 마찬가지이니 나중에 대한 걱정은 생각할 필요도 없는 모양새입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 경제수석이 씨제이 부회장 퇴진을 강요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습니다. 박 전 대통령도 경제수석에게 지시한 혐의가 인정됐습니다. 박 전 대통령이 KT와 하나은행에 특정 인사를 임원으로 앉히라고 하거나 승진시키라고 했다는 혐의도 모두 강요죄가 인정됐습니다. 이제 권력이 민간기업 인사에 개입했다가는 감옥에 가게 된 것입니다.


포스코는 지난 2000년 민영화된 이래 정부가 단 한 주의 주식도 갖고 있지 않은 순수 민간 기업입니다. 정부나 여당이 끼어들 근거가 하나도 없습니다. 지금 포스코의 회장 선임 절차는 2009년 도입돼 지금까지 그렇게 해왔고, 국민연금을 비롯한 대주주들도 이의를 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여당은 선임 절차를 진행하는 포스코 이사들이 '기득권 적폐'라고 합니다. 한 달이 넘는 기간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이러는 것은 자신들이 원하는 인물이 탈락할 것 같자 뒤늦게 나선 것일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명백한 월권이자 갑질이고, 기업 자유 침해 행위인 셈입니다.




물론 ‘포피아(포스코 마피아)’로 불리는 포스코 전현직 임원들이 파벌을 이뤄 자신들이 미는 후보를 회장 자리에 앉히려는 구태가 청산되지 않은 것이 여당에서까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 이유일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상대적으로 포스코 회장 인사에 대한 장악력이 느슨해졌으나 그 틈을 타고 포스코 내부의 이전투구는 더 극심해진 듯합니다. 그렇다고 해도 집권당 의원들이 CEO 선출 절차를 중단하라고 한 것은 그 자체로 외압이 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포스코 회장 선임의 불투명한 과정에 문제를 제기한 정치권의 지적이 일리가 없지는 않습니다. 권력개입의 악순환이 거듭돼 온 포스코 내부의 폐습을 과감하게 청산할 참신한 CEO가 등장할 필요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민영화된 기업의 내부 의사 결정 과정에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은 현 정부의 원칙과 어긋납니다. 특히 집권당의 한마디 한마디는 그 자체가 압력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여권 내부를 먼저 단속하면서 포스코 내부 절차를 지켜본 뒤 문제점이 명확하게 나타난다면 여론 공감대를 구해 신중하게 접근하는 방식이 바람직합니다. 포스코도 밀실 결정이라는 의구심을 해소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차기 회장 선정 기준을 명확하게 밝히고, 적절한 단계에서 관련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명한 절차를 통해 경영 능력과 개혁 의지를 갖춘 CEO가 뽑혀야만 ‘정권의 노획품’이라는 지금까지의 불명예를 벗을 수 있을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