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 상황이 암울하다는 전망이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3.0%에서 2.7%로 수정했습니다. 한꺼번에 0.3%포인트나 낮춘 것입니다. 보통 0.1% 안팎으로 미세 조정해 온 점을 감안하면 이같은 대폭 하향은 극히 이례적입니다.
이유는 명확합니다. 주요 경쟁국들이 글로벌 경기개선의 흐름을 탄 반면 한국만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OECD 회원국들의 평균 성장률은 1분기 0.53%에서 2분기에는 0.70%로 좋아졌습니다. 특히 선진국인 G20 회원국들은 0.9%에서 1.0%로 더 좋습니다. 하지만 한국만 1.0%에서 0.6%로 거꾸로 갔습니다. 미국ㆍ중국ㆍ일본보다도 낮고 회원국 평균에도 이르지 못했습니다. 그 정도로 한국의 성장률 역주행이 심각했습니다.
사실 한국경제에 대한 비관적 전망은 국내 연구기관들이 먼저였습니다. 일찌감치 지난달 LG경제연구원이 내년 성장률을 2.5%로 하향 조정했고 최근 현대경제연구원도 2.6%로 낮춰잡았습니다. 건설 투자 위축에 설비투자와 민간소비ㆍ수출 증가율도 둔화할 것이란 이유입니다. 문제는 내년 전망 자체가 2.8~2.9% 정도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GDP갭이 마이너스(디플레 갭)로 떨어진다는 얘기인데 이보다 극적인 경기침체의 징표는 없습니다.
외환위기 등 글로벌 외생 변수가 없는데도 경제가 잠재 체력 수준의 달리기도 하지 못한다는 건 잘못된 경제 정책의 결과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소득주도 성장의 부작용이 원인이란 얘기입니다. 그 증거가 최저임금의 과속인상으로 인한 실업대란과 실업급여의 급증입니다. 올들어 8월말까지 월평균 실업자는 최근 20년래 가장 많은 113만명에 달합니다. 그 기간 실업급여 지급액도 4조5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실업급여는 최저임금 인상률과 엇비슷한 비율로 늘어나는게 보통인데 올해는 실업급여 지급액 증가율(25.0%)이 최저임금 인상률(16.4%)을 훨씬 웃돌았습니다.
이제 “경제 체질이 변하는 과정에서 오는 단기간의 고통일 뿐”이란 청와대의 설명은 곧이들리지 않습니다. “금방 좋아질 것”이란 낙관론은 더 설득력이 없습니다. 지금이라도 바꿔야 내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치원 방과후 영어교육 철회..교육부의 반복되는 정책 실험 (0) | 2018.10.05 |
---|---|
검찰의 신창현 의원과 심재철 의원 압수수색이 분명히 다른 이유 (0) | 2018.10.02 |
유엔 총회에서 밝혀진 북한 비핵화의 요구조건 (0) | 2018.10.01 |
친전교조 교육감들의 역사 교육이 염려되는 이유 (0) | 2018.09.28 |
문재인정부와 남북 군사합의에 온도차 보이는 주한미군사령관 (0) | 2018.09.27 |